전통시장과 지역 상권을 활성화하기 위한 온누리상품권은
2025년에도 최대 10% 할인을 적용받을 수 있는 대표적인 지역화폐입니다.
종이형·모바일형 모두 할인구매가 가능하며, 개인별 월 한도 내에서 선착순 판매되므로
알아두면 바로 적용가능한 할인 구매 요령과 사용처를 소개합니다.
온누리상품권, 누가 얼마까지 할인받을 수 있나요?
2025년 현재 온누리상품권은 종이형과 모바일형, 카드형으로 운영되며
개인 구매자에게 최대 10% 할인 혜택을 제공합니다.
전통시장, 상점가, 일부 소상공인 업소 등 전국 가맹점에서 사용 가능하며
월 100만 원 한도 내에서 할인 구매가 가능합니다.
온누리상품권 할인 구매 요약표
구분 | 할인율 | 구매 한도(1인당/월) | 구매 방식 |
종이상품권 | 10% | 최대 70만 원 | 농협, 신한은행 등 지점 방문 |
모바일상품권 | 10% | 최대 100만 원 | 앱 또는 온라인 쇼핑몰 통해 구매 |
카드형 상품권 | 할인 없음 | 충전형, 별도 캐시백 가능 | 체크카드 형태로 앱 내 충전 후 사용 |
❶ 종이 온누리상품권 할인 구매 방법
종이형은 주로 은행 창구 방문을 통해 구매할 수 있으며
신분증 지참 후 본인 명의로 구매해야 할인 적용이 됩니다.
- 구매처: 전국 농협, 우리은행, 신한은행, 대구은행, 부산은행 등
- 할인율: 10% 할인
예: 63,000원 결제로 70,000원 권 구매 - 결제수단: 현금만 가능 (계좌이체/카드 결제 불가)
- 구매조건: 주민등록상 성인만 가능, 월 70만 원 한도
※ 일부 지점은 조기 소진될 수 있으므로 출근 시간대 방문 추천
❷ 모바일 온누리상품권 구매 방법
모바일형은 스마트폰 앱에서 손쉽게 구매 가능하며
언제든지 10% 할인으로 충전 가능합니다.
구매 앱 | 결제 가능 수단 | 사용 가능 방식 |
제로페이 앱(비플제로페이, 체크페이 등) | 계좌이체, 간편결제 | 가맹점 QR코드 결제 |
농협 올원페이 | NH계좌 연동 결제 | 모바일 바코드/QR 결제 |
신한 쏠(SOL) | 신한은행 계좌 연동 결제 | 모바일 전용 결제 |
- 할인 적용: 10% 자동 적용
- 월 한도: 최대 100만 원
- 장점: 구매 즉시 사용 가능, 환불도 간편
❸ 카드형 온누리상품권 정보
카드형은 실물 카드로 발급되며, 10% 할인은 없지만
일부 행사 기간 중 추가 캐시백 또는 정부 포인트 적립 이벤트가 진행됩니다.
- 발급처: 농협, 신한, 하나, 비씨카드 앱 또는 웹사이트
- 사용 방식: 체크카드처럼 전통시장 등에서 결제
- 충전 방법: 연동 계좌에서 금액 충전
- 특징: 오프라인 가맹점에서 사용 가능, 현금영수증 자동 발급
온누리상품권 사용 가능 매장 한눈에 확인하기
사용 가능 장소 | 예시 |
전통시장 | 남대문시장, 통인시장, 자갈치시장, 서문시장 등 전국 시장 |
소상공인 일반매장 | 안경점, 떡집, 식당 등 가맹 표시 스티커 부착된 점포 |
온라인 가맹 쇼핑몰 | 온누리전통시장, 가치삽시다, e경남몰 등 제휴 플랫폼 |
주의: 백화점, 대형마트, SSM(기업형 슈퍼마켓)에서는 사용 불가
온누리상품권 구매 및 사용 시 자주 묻는 질문
"Q. 상품권 환불이 가능한가요?"
A. 60% 이상 사용 시 잔액 환불 가능 (5만원권은 3만원 이상 사용 후)
"Q. 사용 기한이 있나요?"
A. 종이형은 5년, 모바일은 앱 정책 따라 다름 (보통 5년)
"Q. 전통시장 외에도 쓸 수 있나요?"
A. 전통시장 가맹점 외에도 일부 동네마트, 음식점 등에서도 사용 가능하나
가맹점 등록 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
전통시장 소비 활성화에 기여하면서
실질적인 생활 할인 혜택까지 누릴 수 있는 온누리상품권.
은행 방문 또는 앱 설치만으로도 월 수만 원을 절약할 수 있으니
꼭 챙겨두시기 바랍니다.